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노마드/디지털 노마드

디스트로키드 드디어 정산이 시작되는 건가, 디스트로키드 최초 로열티 리포트

디스트로키드를 이용해 음원을 발매하고, 해당 음원을 이용해 숏츠를 만들어 로열티와 광고 수익을 얻으려는 실험을 하는 중.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라.

 

 

 

* 자체 음원 수익 구조 만들기

 

자체 음원 수익 구조 만들기, AI로 만든 음악 배급하는 방법 정리

자체 음원 수익 구조를 만드는 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첫째, AI로 음악을 만든다. 둘째, 음원배급사를 통해 YouTube, Instagram, Facebook, TikTok 같은 플랫폼에 배급한다. 셋째, 본인 노래를 이용하여 콘텐

hyeyonism.tistory.com

 

 

 

* 디스트로키드 이용 방법, 음원 발매하기

 

디스트로키드 이용 방법, 자세히 설명할테니 따라와

디스트로키드는 해외 최대 음원배급사이다. 본인이 창작한 음악이 있다면 디스트로키드를 통해 배급할 수 있다. 연간 구독제를 이용하면 왠만한 음원 플랫폼에는 전부 본인 음원을 등록할 수

hyeyonism.tistory.com

 

 

 

오늘 최초 로열티 리포트가 떴다. 음원 발매 후 35일만이다.  

 

 

 

 

모든 수익은 유튜브에서 창출됐다. 

 

 

 

12월에 해당 음원들로 숏츠 영상을 하나씩 올렸고, 각각 7만 회 1만 회 정도의 조회수가 나왔다. 그러니까 현재로써는 저 22,113과 8,532는 어떤 숫자인지가 불명확하다. 해당 데이터를 집계할 시 조회수가 22,113과 8,532였던 것인가. 아무튼 홈페이지 설명에 따르면 수량 Quantity 에 해당되는 데이터는 다양한 출처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 판매: iTunes 및 Amazon Music과 같은 플랫폼에서의 디지털 판매/다운로드 횟수.

* 스트리밍 횟수: Spotify 및 Tidal과 같은 플랫폼에서 리스너들이 음악을 구매/다운로드하지 않고 재생한 횟수.

* 소셜 미디어 노출 수: Facebook 및 TikTok과 같은 SNS 플랫폼은 콘텐츠의 전체 사용량. 총 노출 수에는 다양한 항목이 포함되지만, 수익과 연관이 없을 수 있다.

 

 

 

이 부분을 확실히 하려면 2주에서 한 달 정도의 시간이 더 걸릴 듯 하다. 확실히 못 할 수도 있다 하하. 아래와 같이 집계 데이터를 보여주는데, 국가 별로 정산 단가도 달라 아주 복잡하다. 수량 = 숏츠 조회수가 맞는 것 같기도하고. 애매하다.

 

 

 

수익 정산 주기는 2주. 또 한 번 지켜보도록 하자.

 

 

 

* 디스트로키드 구독료 할인 받는 방법

 

아래 링크로 디스트로키드 접속 후 구독하면, 구독료를 7% 할인 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실 구독료 자체도 그렇게 비싸지 않다는 점이 디스트로키드의 장점. 3만 원으로 무한대 음원 발매하세요.

 

DistroKid is the easiest way for musicians to get their music into Spotify, Apple, Apple Music, Amazon, TikTok, YouTube Music, a

Unlimited uploads to Apple Music and more. Keep 100% of your earnings.

distrokid.com

 

 

학생인 경우 아래 링크로 가입 후 구독하세요. 구독료 50% 할인됩니다. 

 

Upload & sell your music on Apple, Spotify, Amazon and YouTube Music | DistroKid Student Pricing

Unlimited uploads to Apple Music and more. Keep 100% of your earnings.

distrokid.com

 

 

 

그럼 다들 돈 많이 버세요!